전체 글804 실황)북한 배후 추정 해커들, 아스트라제네카 시스템 침입 시도 북한 해커들로 추정되는 이들이 다국적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 시스템 침입을 시도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영국 옥스퍼드대와 함께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해 현재 영국 당국의 긴급사용 승인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현지시간 27일 로이터 통신은 해킹 시도가 코로나19 연구를 담당하는 직원을 포함해 광범위한 대상을 목표로 했지만 성공하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해킹에는 최근 미국 정부에서 북한이 배후에 있는 것으로 추정한 해킹 활동과 비슷한 도구와 기술이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유엔 주재 북한 대표단에 해킹 시도에 대한 질의를 보냈지만 답변을 듣지 못했다고 전했습니다. 앞서 마이크로소프트(MS)는 이달 중순 북한 해커집단 '라자루스.. 2020. 11. 28. 애니)그리자이아 시리즈 보는 순서 그렇게 어마어마할 정도로 유명한 작품은 아니지만, 아시는 분들 사이에선 명작으로 불릴만큼 스토리 구성도 탄탄하고 등장인물들도 개성있는 작품이라는 점. 지금부터 그 명작의 보는 순서를 가이드 해드리겠습니다. *그리자이아의 과실 우선 이 작품에는 5명의 여주인공들이 등장합니다. 그 5명의 학생들로만 이루어진 학교에 전학온 남주가 그녀들의 과거를 알아가며 한 명씩 구원해주는 스토리가 '그리자이아의 과실'입니다. 초반엔 다소 지루하고 "이게 대체 뭔 내용이야...?"라는 반응을 보일 수 있으나, 10화부터가 본격적인 이야기의 시작이니 그 전까지는 매끄러운 스토리 이해를 위해 보셔야한다는 점. 왜 굳이 주인공이 여주인공들을 돕는 장면들을 12화 분량으로 하면서까지 상세하게 만들었을.. 2020. 11. 28. 어플)미션 수행하면 현금 지급...구글이 테스트 중인 앱의 정체는 앉은 자리에서 10가지 문장을 스마트폰에 녹음하거나 인근 가게의 사진을 찍어오는 것만으로도 돈을 벌 수 있는 앱이 등장할 예정이다. 최근 구글이 인도에서 베타테스트 중인 '태스크 메이트(Task Mate)'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특정 작업을 수행하면 금전적 보상을 지급하는 앱이다. 구글은 기존에 '오피니언 리워드(Opinion Reward)' 앱을 통해 특정 앱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면 플레이스토어 크레딧을 지급해왔다. 태스크 메이트는 이보다 한 단계 더 진화한 형태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차이점이라면 앱스토어 크레딧이 아니라 디지털 결제 플랫폼을 통해 실제 통화를 제공한다는 것. Previous imageNext image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는 미션들은 비교적 단순하다. 대부분은 .. 2020. 11. 28. 미국)Realty Income(리얼티인컴)은 어떤 회사? 배당투자하는 사람들의 포트에 기본적으로 들어 있는 Realty Income이 도대체 무엇이길래 모두들 찬양할까? 회사 이름부터 Realty Income, The monthly dividend company, 이다. 회사 이름부터 배당을 위해 태어난 회사임을 증명해준다. 다들 아시는 바와 같이 매월 배당을 입금해준다. 티커는 "O"이다. 1994년에 뉴욕증시에 상장한 이후로 매년 배당을 늘렸다. 특이한 것은 1998년 이후로 매년 4~6번 배당을 늘린다. 사람들이 O를 찬양하는 첫번째 이유이다. 매월배당입금 + 분기별 배당인상. 물론 0.2% 이렇게 인상할때도 있지만, 일년에 배당 한번 받을려고 주구장창 들고 있어야 하는 국내기업이랑은 다른 차원의 클라스를 보여줌. 상장 후로 평균 매년 4.7%의 배당인상.. 2020. 11. 28. 이전 1 ··· 160 161 162 163 164 165 166 ··· 2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