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공부하다가 보면 생소한 용어가 많이 보입니다.
이런 것들이 주식을 하는데 어렵게 느껴지게 하는 것 같아 이 카테코리에 꾸준히 주식 용어를 정리하려고 합니다.
막상 블로그에 검색을 하면 너무 기초 용어라 그런지 설명이 간략하게 되어 있고 어려운 것 같아
초등학생도 이해할 만큼 쉽게 정리하는게 저의 목표입니다 :)
ㅣ오늘의 용어 MTS 와 HTS
MTS 는
Mobile Trading System 의 약자이며
모바일 거래 시스템
HTS 는
Home Trading System의 약자입니다.
집 거래 시스템
따라서 MTS는 모바일(스마트폰)에서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을 뜻하며
HTS는 집에서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을 뜻합니다.
핸드폰에 증권사 어플을 다운받아 주식을 사고 판다면 MTS를 이용하는 것이고
집에서 컴퓨터로 주식 창을 켜서 사고 팔면 HPS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왜, 영화나 드라마에서 보면 막 이런 장면들 있죠??
출처 : 영화 '돈'
이런 장면들이 HTS( 홈 트레이딩 시스템 )를 이용하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저는 아직 주식 왕초보로 인터페이스가 간결하고 쉬운 MTS를 선호하지만
HTS에서만 지원하는 기능들도 있는 것 같아서 공부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MTS 마스터 이후에 시작하려고 해요.. 너무 벅차면 힘들기 때문이죠 ㅠㅠ)
HTS가 메뉴 다양성이나 활용도 측면에서 MTS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 같긴 합니다.
과거에는 주식을 주문하기 위해서는 증권사에 직접 가거나
전화로 주문을 넣어야 했는데 지금은 증권사 어플리케이션(MTS)이 잘 나와있기 때문에
우리는 간편하게 핸드폰이나 개인 PC로 주식을 사고(매수) 팔 수(매도) 있게 됐습니다.
증권사마다 자신들만의 MTS/HTS 를 개발하기 때문에 다들 브랜드가 다릅니다.
예를 들어 키움증권에서 만든 MTS, HPS는 영웅문S 라는 브랜드 이름을 가졌고
NH증권에서 만든 MTS, HTS는 '나무'라는 브랜드 이름이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