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주식_월배당 주식 리얼티인컴(O) 주식 신봉!

by 아리사짱 2020. 11. 30.
반응형

리얼티인컴 회사 로고

리얼티인컴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자며 리츠로 분류된 유명한 월배당 주식이죠?

리얼티인컴의 기업에 대해서는 이미 여러번 포스팅한바가 있으니, 오늘은 리얼티인컴이라는 종목의 차트 흐름에 대해서 조금더 알아보고자 합니다.

 

최근 리츠주들이 다같이 약세를 보이며, 리얼티인컴의 주가도 하락했었죠.

고점에서 처음이 종목을 만나신 분들은 조금 놀라지 않으셨을까 합니다.

 

자꾸 하락하는 주가에 물을 타야할 것 같은데 언제까지 하락할지 감은 안오고 많이 혼란스러우셨나요?

저의 경우 차트를 보며 매수타점을 잡고 있습니다.

 

물론 기업의 가치를 보자면 이런 매수 타점을 잡는 것은 무의미할지도 모릅니다.

단기투자도 아닌 장기투자 관점에서는 특히 기술적 분석에 중요성이 크지 않죠?

하지만 저는 여러방면으로 돌아보는 것을 선호하기에 항상 차트도 함께 돌아보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일봉의 흐름을 보자면, 등하락이 꾸준히 반복되지만 고점을 계속 높여가는 모습이네요.

지금 현재 시점에서는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특히 2016년 8월에 고점을 찍고서는 2018년 2월까지 꾸준히 하락해왔습니다.

이후에는 무서운 기세로 주가의 고점을 갱신했습니다만 다시 하락추세를 이어가는 중입니다.

때문에, 이번에도 그정도로 장기적인 하락이 없으라는 법은 없죠.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 리얼티인컴의 매수를 고려하신다면 조금 더 신중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조금 더 차트를 키워서 보겠습니다.

 

현재가인 72.36 USD는 2019년 8월경의 가격과 같은 수준입니다만, 52주 최저가는 60.01 USD 입니다.

아직 더 내려갈 수 있는 여지는 충분하다고 보여지네요.

하지만 그동안 무서운 속도로 하락하던 것에 비하면 하락의 속도가 약간 늦춰진 것은 틀림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주봉과 월봉을 기준으로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봉으로 보자면 곧 60일선에 닿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60일 선의 가격대가 70.90~71 USD로 생각이되네요. 저 이하로 주가가 하락한다면, 충분히 120일선까지도 가능성을 보아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이번에는 월봉으로 살펴보겠습니다.

2011년 이전까지 길게 이어진 흐름을 보실 수 있는데 60일선을 타고서 계속 상승하는 모습이 보여집니다.

그렇다면, 최저가를 60일선을 기준으로 생각해봐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현재의 60일선의 가격은 60 USD 정도 입니다.

 

지금부터 지속적인 하락추세에 들어간다면 길게는 60 USD의 가격을 생각하고 적립식 매수를 하는 방법도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차트의 경우 절대적인 지표가 되지 않기에 어디까지나 참고사항입니다.

저의 경우 장기적인 관점으로 리얼티인컴이라는 종목을 보고 있기에 더욱더 차트는 보조 분석수단이 될 것 같네요.

이미 리얼티인컴이라는 기업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 하고 있고, 얼마나 탄탄한 실적을 가졌는지는 많이 들어보셨을 것으로 생각하였기에 오늘은 차트를 위주로 포스팅을 해보았습니다.

 

많은 여러분에게 조금 더 색다른 관점에서 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으면 좋겠네요.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어디까지는 제 기준에서의 참고사항이니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구나라는 관점에서 이해해주시길 바랍니다.

 

다음으로 가장 중요한 리얼티인컴의 배당정보를 되짚어보겠습니다.

 

현재가를 기준으로 배당수익률은 3.81%로 낮지 않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주가가 하락한다면 더 높은 수치로 변하게 되겠죠? 배당금은 23년가 지속적으로 상승해 왔습니다.

이것이 바로 리얼티인컴의 가장 큰 장점이겠죠?

월배당에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탄탄한 배당입니다.

주가의 성장세로 인한 시세차익은 다른 종목에 비하여 부족할지 모릅니다.

제가 포스팅해드린 배당성장주인 비자, 마스터카드와 같은 종목에 비하면 성장동력은 몹시 작을테죠.

하지만 그것을 뒷바침하는 튼튼한 배당금이 꽤 든든하게 다가옵니다.

 

한가지 더 정보를 말씀드리자면, 리츠주의 경우 Payout Ratio(배당성향)보다는 FFO(Funds From Operations)이라는 수치가 더 중요하죠?

 

FFO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FFO = 당기순이익 + 감가상각비 + 무형자산상각비 - 자산매각차익

 

리츠의 경우 감가상각이 많이 되는 특징이 있기 떄문에 FFO가 더 중요한 지표입니다.

다음번 포스팅에는 FFO의 개념에 대해서 조금 더 깊게 설명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FFO의 개념은 리츠주에서 빠질 수 없는 지표이므로 꼭 포스팅을 확인해 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